본문 바로가기

반응형

언어발달단계

반응형
언어발달 언어의 구성요소와 언어발달단계 *본 내용은 발달심리학(독학사) 시대에듀 책 내용에서 발췌되었음을 명시합니다. 언어발달이론의 학습이론적 개념 - 아동은 어른의 언어를 모방하면서 학습한다는 이론 *부모의 역할 : 아이의 언어발달을 위해 아이가 하는 말을 따라해주면 강화가 된다. 인지발달이론/피아제 - 언어의 발달은 사고에 의해서 구조화 - 언어는 아동의 사고나 개념을 표현하는 수단 - 아동은 주위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경험을 통해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며 이는 능동적이고 자기주도적인 과정 - 유아의 혼잣말은 자기중심적 사고가 언어를 통해 표현된 것이며 아동의 사고가 탈중심화되면 이는 사회적인 언어로 발전 *혼잣말하다가 다른사람들과 교류되면 혼잣말이 줄어든다. 상호작용이론적 접근/브루너 - 언어발달에 기여하는 부모의 역할을 언어획득 지지체계라고.. 더보기
비고츠키 기본개념 및 언어발달단계 & 사회문화이론 비고츠키 사회문화이론 - 아동은 사회적인 매개체와 함께 현재 및 과거의 상호작용에 의해 지식을 구성해 나간다. - 학습은 아동 스스로 학습하려는 노력과 함께 다른 사람, 즉 교사나 부모 또는 좀 더 능력이 있는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비고츠키는 주장하였다. - 아동의 지적발달은 자기중심적 언어의 발달 및 변형에 의해 도출되는 외적언어와 내적언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. *외적언어: 의사소통의 도구, 표현하고자하는것. *내적언어: 사고 및 계획의 설정추구, 속마음. 비고츠키 언어의 발달단계 - 언어에는 사회적 의사전달 기능인 공적인 언어가 있고, 자기통제기능인 혼잣말이 있다. 원시적 언어단계 0-2세 - 사고 이전의 언어 - 언어는 울음과 같은 정서적 형태를 띄거나, 부모가 반복적으로 들려주.. 더보기